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의 모든 것

이 시대 핫한 자격증 – 주택관리사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스펙을 쌓기 위해 오늘도 몸부림을 치는 우리 젊은이들을 위해 저는 앞으로 이 시대의 유망있는 자격증을 알아내고 그 자격증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하는 블로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젊은이 파이팅!!!!

 

자격증에 대해 모든 것을 알려주마~ 2 탄 주택관리사

 

주택관리사 합격은 음훼훼~ 하면서 유명인이 나오는 광고도 있는 주택관리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택관리사란?

2. 주택관리사는 어떤 일을 할까요?

 

3. 주택관리사의 전망은?

4. 주택관리사 취업은 어디로 할까요?

5. 주택관리사 채용에 따른 의무규정은?

 

 

 

- 주택관리사 자격 제도 및 인정 경력

 

1) 주택관리사등의 자격 ( 주택법 제 56조 관련)

 

 

2) 주택 관리사 인정 경력 ( 주택법 시행령 제 73) 관련 안내

사업계획승인을 얻어 건설한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장으로의 근무 경력 3년 이상 되어야 하고 공동주택관리기구의 직원 또는 법 제53조의 규정에 의한 주택 관리업자의 직원으로서 주택관리업무에의 종사경력 5년 이상이 되어야 한다.

법 제81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주택관리사단체와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공동주택관리와 관련된 단체의 임직원으로서 주택관련업무에 종사한 경력 5년 이상이 되어야 한다.

대한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의직원으로서 주택관리업무에의 종사 경력 5년 이상이 되거나 공무원으로서 주택관련 지도ㆍ감독 및 인ㆍ허가 업무 등에의 종사 경력 5년 이상이 되어야 한다.

위의 경력을 합산한 기간 5년 이상이 되어도 인정이 된다.

                                       

3) 주택 관리사 인정 경력 ( 주택법 시행령 제 73) 관련

주택관리사 자격증은 각 시ㆍ도지사가 발급하오니(주택법제56) 주택관리사 자격인정관련 문의는 각 시ㆍ도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택관리사 시험정보

주택관리사 시험은 12차 시험으로 구분을 하고 있으며, 1차 합격 후 2차 시험에 응시가 가능합니다.

원서교부 및 접수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하는 Q-net에서 인터넷 접수만 가능합니다.

주택관리사 큐넷 페이지 바로가기 < http://www.q-net.or.kr/man001.do?gSite=L&gId=59 >

 

시험은 1년에 1회만 치뤄지고 있으니 위 페이지에서 원서접수 일정 및 시험일정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시험과목 및 출제비율

구분

시험과목

출제비율

 

 

1차시험

 

1) 민법

- 총칙

60% 내외

- 물권, 채권 중 총칙매매임대차ㆍ도급ㆍ위임ㆍ부당이익ㆍ불법행위

40% 내외

2) 회계원리

- 세부과목 구분 없이 출제

-

3) 공동주택시설개론

- 목구조ㆍ특수구조를 제외한 일반걱축구조와 철골구조, 장기수선 계획수립 등을 위한 건축적산

50% 내외

- 공기조화, 냉동설비, 홈네트워크를 포함한 건축설비개론

50% 내외

 

2차시험

1) 주택관리관계법규

- 주택법,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공공주택 특별법

45% 내외

- 건축법, 소방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승강기기설 안전 관리법, 전기사업법,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 집합건문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중 주택관리에 관련되는 규정

55% 내외

2) 공동주택관리실무

- 공동주거관리이론

- 공동주택회계관리, 입주자관리, 대회업무, 사무ㆍ인사관리

50% 내외

- 시설관리, 환경관리, 안전ㆍ방재관리 외 리모델링 등

50% 내외

- 주택관리관계법규의 출제범위는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만 주택관리와 관련되는 규정에서 출제하고 나머지 법규는 전 분야에서 출제

- 시험과 관련하여 법령 등을 적용하여 답을 구하여야 하는 문제는 시험시행계획 공고일 현재 시행되는 법령 등을 적용하여 출제

- 회계처리 등과 관련된 시험문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하여 출제

 

2) 시험방법

구분

과목수

출제문항

시험시간

문제형식

1차 시험

3과목

과목별 40문항(120문항)

과목별 50(150)

객관식 5지 택일형

2차 시험

2과목

과목별 40문항(80문항)

과목별 50(100)

객관식 5지 택일형(과목당 24문항) 및 주관식 단답형(과목당 16문항)

- 합격기준 :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

 

3) 응시자격

- 응시자격 : 제한없음

, 시험시행일 현재 주택관리사 등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와 부정행위를 한자로서 당해 시험시행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응시가 불가능 하니 꼭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4) 주택관리사() 시험의 결격사유

-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이거나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일 경우

-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이거나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일 경우

- 주택관리사등의 자격이 취소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일 경우

 

주택관리사 자격증에 대한 나의 생각

경력이 없는 경우 우선 주택관리사보로 시작을 하지만 주택관리사보를 취득 하고 경력을 쌓게 되면 젊은 나이에 공동주거구역이나 빌딩관리등을 할 수 있는 점이 아주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그 후에 자격을 인정 받아 주택관리사가 되면, 더 큰 아파트 관리소장이 될 수 있겠죠. 경비지도사와 같이 취득 해 두게 되면 어디든 관리자로 취직이 가능 할 것으로 보여지며, 거의 은퇴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는 자격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0대부터 준비를 하면 40대에 빛을 볼 수 있는 자격증으로 보여집니다. 이력서에 한줄 보태기 위한 자격증을 위해 공부 하기 보다는 앞으로 삶에 보탬을 줄 수 있는 자격증에 도전을 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상황에 따라 학원이나 인강을 통해 함께 공부 한다면 아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음 글은 농어업재해에 대한 손해를 평가하고 수행하는 자격증인 손해평가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